
자유형의 모든 선수는 Rolling을 하게 된다. 그러나 과도하게 Rolling을 하거나 또는 몸의 Rolling을 일부러 없애려 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이다. Rolling을 너무 심하게 하는 것은 Stroke시에 팔꿈치를 떨어뜨릴 수도 있고 또한 호흡중 들이마시는 시간을 지나치게 길게 가질 수도 있다.
몸의 Rolling은 팔의 동작의 변화에 의해서이다.
몸을 Rolling하게 되면 강한 몸체의 근육을 경기에 이용할 수 있고 물위로 팔이 Recovery할 때 불필요한 팔의 흔들림 없이 Recovery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의 동작에 있어서 Hip과 다리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호흡을 하기위해 머리를 자연스럽게 돌릴 수 있게 해준다.
초보영자들의 경우에는 진행이나 또는 몸의 균형을 위한 Rolling보다는 호흡을 위한 Rolling에 주력하기 마련이다. 이는 점차적으로 영법이 숙달되어 감에 따라 조금 더 작은 Rolling으로 변해가지만, 너무 작지 않은 적절한 Rolling을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초보시절에 호흡을 위해 만들어진 Rolling동작은 점차로 호흡만을 위해서 사용되어지면서 좌우가 비대칭적인 불균형한 Rolling이 되기 쉽다. 이는 무호흡 스트로크를 통해서 대칭적인 스트로크 동작과 함께 대칭적인 Rolling의 자세를 갖추는 연습이 필요하다.

몸의 장축으로부터의 몸의 기울기 (Rolling)
Rolling에서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중 하나는 입수되어지는 팔과 엑센트킥의 다리가 서로 정반대로 롤링이 이루어진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려간 방향의 어깨와 킥이 이루어지는 방향이 좌우 교차되어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제는 엑센트 킥과 연계하여 상호 스트로크와의 관계를 익히는 것도 중요하다.
간혹 선수들의 영법을 보게되면 일부러 좌우가 대칭이 되지 않는 좌우의 균형을 깨고 주관적 느낌으로 Dynamic한 리듬을 만드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 수영인으로서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Rolling동작이 적절히 구현이 되면 영자 스스로가 리드미컬한 영법의 느낌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스트로크에서의 전과정(Thrust → Press → Catch → Hard Load → Finish)을 위해서 많은 도움을 직접적으로 줄 수도 있다. Rolling을 적절히 구사하게 되면 Recovery시의 호흡자세와 함께 Recovery에서 얻은 힘의 전진하는 관성력에도 미력하나마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